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토바이 적재함, 어떤 모델에 장착할 수 있을까?

by lovelybabies 2025. 9. 22.

출퇴근이나 장거리 투어, 배달 업무에 이르기까지 오토바이를 사용하는 라이더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적재 공간 확보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바이크에 적재함(탑박스 또는 사이드박스)을 장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글에서는 적재함 장착이 가능한 대표 모델들과 장착 전 확인해야 할 요소, 그리고 적절한 선택 기준에 대해 실제 사례와 함께 자세히 소개한다. 실용성과 안정성 모두를 고려한 적재함 선택법을 알아보자.

다른 스타일의 적재함이 장착된 오토바이들

왜 적재함이 필요할까?

오토바이는 기본적으로 구조가 간결하고 빠른 이동을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차량처럼 넉넉한 적재 공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출퇴근 시 가방이나 짐을 바이크에 싣고 다녀야 하거나, 장거리 투어나 캠핑을 계획하고 있다면 수납공간이 절실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특히 배달 라이더나 장거리 투어러들에게는 적재함이 선택이 아닌 필수 장비로 여겨진다. 적재함은 크게 탑박스(Top Box), 사이드박스(Side Box), 탱크백(Tank Bag)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설치 방식이나 바이크와의 호환성에 따라 장착 가능 여부가 달라진다. 특히 일부 스포츠 바이크나 클래식 바이크는 구조상 적재함 장착이 까다롭거나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바이크가 어떤 구조인지 정확히 파악한 뒤 선택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실제로 적재함을 장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모델들을 소개하고, 장착 전 체크리스트와 주의사항까지 함께 정리하여 라이더들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적재함 장착 가능한 대표 바이크 모델

1. 스쿠터 계열

스쿠터는 구조상 적재함 장착이 가장 쉬운 모델이다. 대부분의 스쿠터는 리어랙(Rear Rack)이 기본 장착되어 있어 별도의 커스텀 없이도 탑박스 설치가 가능하다. 혼다 PCX, 야마하 NMAX, SYM 조이라이드, 킴코 다운타운 등은 시중에 다양한 사이즈의 탑박스 호환 제품이 나와 있어 선택 폭도 넓다. 배달 용도로도 많이 사용된다.

2. 투어링 바이크

장거리 투어를 목적으로 설계된 바이크들은 대부분 순정 상태에서 사이드박스 또는 탑박스 장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BMW R1250GS, 혼다 골드윙, 스즈키 V-Strom, 카와사키 Versys 시리즈 등이 대표적이다. 일부 모델은 전용 브라켓이나 캐리어가 기본 제공되며, 하드케이스 또는 소프트케이스 선택이 자유롭다.

3. 어드벤처/듀얼퍼포즈 계열

오프로드와 온로드를 병행하는 어드벤처 바이크는 넓은 리어 공간과 고정 브라켓이 확보된 경우가 많아 적재함 장착에 유리하다. 야마하 테네레 700, KTM 890 어드벤처, 혼다 CRF300 랠리 등이 해당된다. 이들 바이크는 투어용 하드케이스, 방수 백 등을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4. 크루저 바이크

할리 데이비슨, 인디언, 혼다 레블 등 크루저 계열도 특정 스타일의 사이드백, 탑박스 장착이 가능하다. 다만 외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전용 가죽 백이나 클래식풍 하드케이스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착을 위한 별도 브라켓이 필요할 수 있다.

5. 네이키드/스포츠 바이크

이 계열은 적재함 장착이 가장 어려운 부류에 속한다. 구조적으로 리어랙이 없거나, 서스펜션 구조상 무게 중심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모델은 사제 브라켓을 활용하거나 탱크백/시트백을 활용해 최소한의 적재 공간을 확보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야마하 MT-07, 혼다 CBR500R 등은 범용 브라켓 설치 후 소형 탑박스를 장착한 사례도 존재한다.

장착 전 확인해야 할 3가지

적재함을 설치하기 전에는 반드시 세 가지를 확인해야 한다. 첫째는 장착 구조다. 바이크에 리어랙이나 브라켓 고정부가 있는지, 또는 별도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지를 살펴야 한다. 둘째는 무게 중심이다. 적재함을 장착하면 무게가 뒤로 쏠리기 때문에 핸들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고속 주행 시 안정성에 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은 적재 용도와 스타일이다. 장거리 투어를 자주 한다면 대용량 하드케이스가 유리하고, 도심 출퇴근용이라면 탈부착이 쉬운 소형 탑박스나 방수 시트백이 적합하다. 또한, 적재함 자체의 무게와 실사용시 적재할 짐의 무게를 합산해 바이크 허용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제조사에서 공식적으로 장착을 허용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장착 후에는 반드시 주행 테스트를 통해 진동이나 고정 상태를 확인하고, 주기적으로 나사나 브라켓을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함은 단순한 수납 공간을 넘어 라이딩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여주는 실용 장비다. 내 바이크에 맞는 적재함을 현명하게 선택하면 장거리 여행, 출퇴근, 업무까지 더 자유롭고 안정적인 라이딩이 가능해진다.